- 개요
- 특정 분야를 기술하는 데이터 모델, 특정한 분야(Domain)에 속하는 개념과 개념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정형(formal)어휘의 집합.
- 필요성
- 기계가 의미를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는 뼈대를 온톨로지라고 할 수 있음.
- 구성요소
- 클래스 ( Class ) :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사물, 개념 등에 붙이는 이름을 말함.
- 인스턴스 ( instance ) : 사물이나 개념의 구체물이나 사건 등의 실질적인 형태로 나타난 그자체를 의미함.
- 속성 ( Property ) : 속성은 클래스나 인스턴스의 특정한 성질, 성향들을 나타내기 위해 클래스나 인스턴스를 특정한 값(value)와 연결시킨 것
- 관계 ( Relation) : 관계는 클래스, 인스턴스 간에 존재하는 관계
- Taxnomic Relation : 클래스, 인스턴스들의 개념분류를 위해 보다 폭넓은 개념과 구체적인 개념들로 구분하여 계층적으로 표현, "isA"관계
- Non-taxnomic relation : Taxnomic Relation이 아닌 관계를 말함. "cause"관계
시스템 측면에 따른 구분
- 언어 온톨로지(Linguistic Ontology) : 텍스트, 말뭉치 등에서 추출된 데이터나 정보에 대한 자연어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온톨로지이다. (예: CYC 온톨로지, EDR, WordNet)
- 공리 온톨로지(Axiomatized Ontology) : 정보시스템과 관련된 영역의 부분적 이해를 표현하는데 이용되는 규칙, 이론, 제한점 등의 스키마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것을 지원하는 온톨로지이다. (예: 웹 온톨로지)
- 언어 온톨로지 + 공리 온톨로지 : 인공지능 온톨로지이다.
구축 범위에 따른 구분
- 일반 온톨로지(Generic or common-sense ontology) : 우리 주위의 세상을 구성하는 일반적 개념들을 대상으로 구축한 온톨로지이다. 공간, 상태, 사건, 시간과 같은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지식에 대하여 의미론적 연관 관계를 구축한 개념의 집합체이다.
- 영역 온톨로지(Domain ontology) : 특정 영역에서 유효한 지식들을 대상으로 구축한 온톨로지이다. 구체적인 사물 혹은 특정 학문 영역과 같은 제한된 영역에서 의미론적 연관관계를 구축한 개념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.
구축 대상에 따른 구분
- 메타데이터 온톨로지 : 데이터베이스 정보의 의미론적 연결을 위한 기술 어휘와 기준의 집합이다.
- 웹 온톨로지(Web ontology) : 넓은 의미에서 메타데이터 온톨로지의 한 종류라 할 수 있으며, 웹 문서 작성 언어의 태깅과 정의에 필요한 기준, 기술방식의 의미론적 연결이라 할 수 있다.
- 표현 온톨로지(Representational ontology) : 특정 영역(domain)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무엇을 표현해야 하는지에 대한 언급 없이, 프레임, 슬롯, 제한을 기술함으로써 개체(entity)를 표현하는 온톨로지이다.
- 업무 온톨로지(Method/Task ontology) : 특정한 업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온톨로지이다.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온톨로지#온톨로지의_필요성